본문 바로가기

[교육심리학] 지능의 정의, 지능이론

미림 :-) 발행일 : 2023-10-17
728x90

지능이론 spearman 일반요인지능이론 thrustone 다요인지능이론 Gardner 다중지능이론 Sternberg 삼원지능이론
지능의 정의 및 지능 이론

 

728x90

지능의 정의 

 

  • Binet (1905) : 학교학습을 성공적으로 하는데 필요한 기본 능력
  • Wechsler (1939) : 유목적적으로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환경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능력
  • Gardner (1986) :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가치롭게 여겨지는 문제해결 또는 결과 산출 능력

 

최근 지능에 대한 전문가들의 일반적 합의  

 

지능 =
학습능력(capacity to learn from experience)
+ 적응능력(capacity to adapt to one's environment)
+ 문제해결능력(capacity to solve problems) 

 


지능이론에 대한 역사적 고찰 

 

19세기 후반 Cattell(1890)의 최초 지적능력 검사

  • James McKeen Cattell의 지적능력 검사 (정신검사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함) 
  • 신체 힘, 반응시간, 지각변별능력 중심 
  • 정신검사 검사 항목 : 악력의 세기, 손의 이동속도(50cm), 소리에 대한 반응 속도, 색 이름 말하기 속도, 50cm 선 양분하기, 두 점의 접촉 여부 지각에 대한 역치 수준, 통증을 유발하는데 필요한 압력의 정도, 무게 변별(100-110그램, 1그램 단위) 

 

20세기 초 Spearman의 일반요인 지능이론 

  • 지능의 구성 = 일반요인 (g factor) + 특수요인 (s factors) 
  • 일반요인 : 모든 인지적 활동에 보편적으로 관여하는 보편 능력 (경험에 대한 이해, 관계에 대한 이해, 상관적 이해) 
  • 특수요인 : 특정 검사문항과 관련되어 있는 구체적 요인 (언어, 수리, 도형 등) 

  스피어만(Charles Spearman)은 인지능력이나 정신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들을 분석하여 서로 다른 정신능력검사 점수 간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스피어만은 이를 정신능력검사 간 공통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g factor 일반요인이라고 지칭했다. 일반요인은 모든 인지적 활동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정신의 에너지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력, 아이디어를 관계 짓는 능력 등을 가리킨다. 반면 특수요인(s factor)은 구체적인 과제에만 관여하는 지적인 능력이다.

 

  스피어만은 지능이 일반요인과 특수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바라보았지만, 일반요인을 지능의 본질이라고 바라보았다. (지능의 단일능력설) 일반요인이론은 일반요인이 고정적이고 변하지 않는 개인의 지적인 능력으로 이해했기 때문에, 지능은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미래의 성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능력이라는 생각으로 연결되었다. 

 

Thrustone의 다요인 지능이론 

  • 하나의 일반요인이 아닌 동등한 중요도를 갖는 다수의 집단 요인 존재 
  • 7개의 기본정신능력(primary mental abilities) : 언어사고능력, 언어유창성, 공간, 계산, 기억, 추리력, 지각 

  써스톤은 여러가지 정신능력 검사 점수 간 관련이 한 개 이상의 요인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써스톤(Thurstone)은 지능이 언어요인, 수요인, 공간요인, 지각요인, 기억요인, 추리요인, 유창성요인 등의 7가지 기본정신능력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주장하였다.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다중의 지능요인들이 존재한다고 주장함 
  • 다중의 지능요인이 존재한다는 증거 : 뇌손상 환자들의 경우 손상된 부분과 온전한 부분이 구별되어 보고됨 
  • 지능의 영역 : 언어지능, 논리수학지능, 음악지능, 공간지능, 신체운동지능, 인간친화기능(대인간 지능), 자기 성찰지능(개인내적지능), 자연친화지능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는 지능을 '특정 문화권이나 사회에서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능력'이라고 정의하고, 인간의 지능이 단일한 특성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맥락의 영향을 받는 서로 독립적이며 다양한 유형의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다중지능이론(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MI 이론)을 제안하였다. 뇌손상 환자들의 경우 손상된 부분과 온전한 부분이 구별되어 보고되기도 하고, 바보천재들, 학습부진영재아동들이 존재한다는 점을 바탕으로 다중의 지능요인이 존재한다고 본 것이다. 

 

  가드너는 다중지능이론을 통해 8개의 독립적인 지능들이 존재하며 각각의 지능의 가치는 문화나 시대에 따라 달라진다고 주장했다. 또한 학습자는 누구나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을 가지고 있으며 학생들의 서로 다른 강점 지능을 중심으로 약점지능을 보완하는 교육방식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Sternberg의 삼원지능이론 Triarchic theory of intelligence 

  • 지능 = 요소지능(componential intelligence) + 경험지능(experiential intelligence) + 맥락지능(contextual intelligence)
  • 분석적 능력 : 정보나 사물을 분석, 평가, 비판, 비교 및 대조하는데 필요한 능력 (요소하위이론으로 설명) 
  • 창의적 능력 : 무엇인가를 고안해 내고 발견하며 상상하고 가정하는 것과 관련된 능력 (경험하위능력으로 설명)
  • 실제적 능력 : 적절한 아이디어를 찾아내고 실행하며 적용하고 활용하는 능력 (상황/맥락하위이론으로 설명)

  스턴버그는 지능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인지과정을 탐색해야한다고 생각하였고, 인지과제에 관련된 요소와 정보처리과정을 연결시켜 지능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스턴버그는 지능이 분석적 능력, 창의적 능력, 실제적 능력의 세 가지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 

 

  스턴버그는 지능을 개인, 행동, 상황의 종합적인 영향으로 형성되고 발현되는 능력이라고 생각하였다. 스턴버그는 개인, 행동, 상황과 각각 연결된 하위이론, 즉 요소하위이론, 경험하위이론, 상황하위이론으로 분석적, 창의적, 실제적 지능의 인지과정을 체계화하였다. 

 

정서지능 Emotional intelligence, 사회적 지능 Social intelligence

  • 정서지능 : 자신과 타인의 감정 또는 정서 상태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사고와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능력
  • 사회적 지능 : to act wisely in human relations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