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체육연구설계법] 연구의 이해

미림 :-) 발행일 : 2023-05-05
728x90

[체육연구설계법] 연구의 이해 

체육연구설계법 연구의 이해, 연구 타당도 신뢰도
[체육연구설계법] 연구의 이해

 

728x90

연구의 정의 · 목적 · 특징

 

① 연구의 정의

  •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는 한 방법
  • 설명이 필요한 현상에 대한 만족한 설명을 찾는 행위 (Popper, 1972)
  • Systematic, controlled, empirical, amoral, public and critical investigation of natural phenomena guided by thoery and hypotheses about the presumed relations among such phenomena (Kerlinger & Lee, 1999)
  • 적절한 해석 없이 정보를 수집하는 행위나 정보를 재구성하는 행위는 연구라고 할 수 없다.

② 연구의 목적

  • 기술 description : 기록하고 설명함
  • 이해 understanding : 왜? 에 대한 답
  • 예측 prediction : 조건부 예측

③ (전통적) 연구의 특성

  • 체계적, 논리적
  • 실증적 empirical : 보여줄 수 있는 증거가 있는가
  • 일반화 generalization 가능
  • 반복 가능

 


연구의 분류

 

① 연구 목적에 따른 분류

  • 기초연구 : 과학적 지식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적·이론적·실험적 연구
  • 응용연구 (cf. action research) : 현장 적용 및 응용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

② 자료의 성격에 따른 분류

  • 양적 연구
  • 질적 연구

③ 연구과정(연구방법)에 따른 분류

  • 기술연구 descriptive : 변인을 통제하거나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관심 있는 현상을 이해하고 서술하는 연구
  • 실험연구 experimental :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연구 (실험 처치를 하는 집단과 하지 않는 집단)
  • 준실험연구 quasi-experimental : 실험조건을 충분히 통제할 수 없지만 자연적 상황을 이용해 실험연구를 하는 방법
  • 상관연구 correlational : 연구자가 주어진 현상을 조작통제하지 않고 자연조건 그대로 변인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방법
  • 사례연구 case/field study : 특정 개인이나 집단을 대상으로 필요한 자료를 여러 방법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연구대상의 문제나 특성을 심층적·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기술하는 연구방법
  • 역사연구 historical
  • 질적연구 qualitative

 


전통적인 연구 절차 

 

① 연구문제 제기

② 문헌 고찰

문헌 고찰은 해당 분야의 최신 정보 획득, 연구 문제 및 가설의 도출과 구체화, 이미 진행된 연구와 진행되지 않은 연구 파악, 가장 적합한 연구설계 파악의 목적으로 진행된다. 문헌의 종류에는 논문, 책, 인터넷 등이 있다. 문헌을 고찰할 때에는 철저하면서도 비판적(논리적인가? 타당한가?)으로 고찰해야 한다.

문헌을 고찰하며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이론(theory)적 배경을 알아보아야한다. 이론이란 특정 현상 군에 대한 체계적이고 일반적인 설명으로, 흔히 증명된 이론을 법칙(law)이라고 한다. 연구에서의 이론은 연구의 출발점을 안내하여 연구문제 도출을 돕고, 연구의 방향을 안내하며,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한 기초적 토대를 제공한다. (이론→ 연구 → 확장된 이론) 좋은 이론은 넓게 적용될 수 있는 일반성(generalizability)과 많은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효율성(parsimony)을 갖추고 있다.

③ 연구문제 설정, 가설 설정

연구문제는 다양한 방식으로 도출된다. 상위의 전문가를 통해 도출되기도 하고, 토론·실제 상황의 문제 해결·경험·문헌 고찰 중 도출되기도 한다. 연구문제를 도출할 때에는 중요성, 최초성, 연구가능성, 수월성을 고려해야 한다. 연구문제의 예로는 스포츠 참여가 장애인들의 자아존중성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량이 암 예방에 미치는 영향 등이 있다.

연구 가설 설정은 이론과 사전의 증거·경험 도는 연구자의 전문성에 근거하여 연구 결과를 예측하는 것(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에 대한 예측)이다. 아래의 조건을 충족할 수록 좋은 가설이라고 할 수 있다.

  • 이론 반영
  • 연구의 방향 제시
  • 연구 결과에 대한 방향성 포함
  • 명확성, 간단성, 구체성(변인과 변인간 관계 포함)
  • 검증 가능

 

이 단계에서 흔히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이 이루어진다. 조작적 정의란 연구 변인과 실제 연구에서 사용되는 변인을 일치시키는 과정이다. 연구에서 어떤 특정 변인을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인데, 예를 들면 신체활동량을 1주일 동안의 운동시간으로 정의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④ 변인 설정 / 선택

연구에서 나타나는 여러 변인들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배경변인
organismic variable
ex. 성별, 나이, 교육수준 등
가외변인
extraneous variable
- 연구자가 의도하지 않았는데, 종속변인에 영향을 준 요인
- 실험자가 조작하는 독립변인 이외의 변인은 모두 가외변인이라고 할 수 있음
중재변인
moderator variable
- A → C → B
- A와 B의 관계에서 C의 관계에 따라 관계의 정도가 달라질 때 C를 중재변인이라고 한다.
매개변인
mediator/intervening variable
- A → C → B
- C가 없을 때 A→B가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성립되지 않을 때 C를 매개변인이라고 한다.
통제변인
control variable
- 실험에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잠재적인 독립변인
혼동변인
- 분리가 불가능한 가외변인
- 혼동변인 ⊂ 가외변인

 

⑤ 연구 설계

양적 연구에서 연구설계는 연구에서 사용되는 변인을 어떻게 통제하고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제시한다. 이 때 연구 설계과정에서 편견, 가외 변인, 혼동변인, 통계기법의 적절성을 고려해야 한다. 가외/혼동변인을 통제하는 방법으로는 무선할당, 가외/혼동변인의 독립변인화, 가외/혼동변인의 상수화, 통계적 통제 방법이 있다.

⑥ 표본 추출

⑦ 자료 수집

⑧ 자료 분석

⑨ 분석 결과 해석 (결론 도출)

⑩ 일반화 (이론의 확대)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① 연구의 타당성 (validity of research)

  • 내적 타당도 (internal validity)

연구의 절차상 다른 요인의 영향 없이 연구자가 목적한 변인 간 관계가 순수하게 나타났는가의 정도를 의미한다. 즉, 종속변인의 변화가 순수히 독립변인에 의해 야기되었는지의 정도이다. (연구 내에서의 논리 타당도, 절차를 보았을 때 결론이 제대로 되었는지) 내적 타당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는 과거(경험), 자연적인 변화(성장, 노화), 검사, 연구자(의 편견), 도구, 표집의 오류, 피험자의 포기가 있다.

  • 외적 타당도 (external validity)

연구의 결과를 실제 상황에 적용하여 일반화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표본에서 모집단으로 일반화할 수 있는지, 실험실에서 실험실이 아닌 실제환경으로 일반화할 수 있는지, 연구에 이용된 변인들로부터 유사한 다른 변인으로 일반화할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

② 연구의 신뢰도 (reliability of research)

연구의 신뢰도는 연구의 반복 가능성(replicability)을 의미한다. 나의 연구를 다른 연구자가 똑같은 환경에서 똑같은 절차로 다시 수행한다고 할 때 같은 결과를 얻는다면 신뢰도가 높은 연구라고 할 수 있다.

**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연구는 타당도도 있고 신뢰도도 있어야한다. 신뢰도는 연구가 타당하기 위한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은 아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