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생리학] 근육의 분류, 근육의 구성, 근수축 기전
근육의 분류
근육은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근육의 역할에 따라 나눈 [내장근, 심근, 골격근], 운동/움직임 시 역할에 따라 나눈 [주동근, 보조근, 길항근], 크기에 따라 나눈 [대근육, 소근육]을 정리해 보았다.
1) 내장근, 심근, 골격근 (기준 : 근육의 역할)
- 내장근과 심근 : 심장, 간, 허파와 같은 내장기관을 구성하는 근육
- 골격근 : 대부분 뼈에 붙어 몸을 움직이는데 관여하는 근육
골격근은 크기 및 위치에 따라 재분류가 가능하다.
주요 대근육군 | 하체 근육군 | 넙다리 네 갈래근(대퇴사두근, quadriceps femoris muscle) 햄스트링(넓적다리뒤근육, hamstring) 둔근(gluteal muscle) 종아리근(fibularis brevis muscle) |
등 근육군 | 승모근(trapezius muscle) 광배근(latissimus dorsi/lat) 척추 기립근(erector spinae muscle) 등 |
|
가슴 근육군 | 대흉근(pectoralis major muscle), 소흉근, 전거근 등 | |
주요 소근육군 | 복근 및 코어 | 복근, 요방형근, 다열근, 장요근, 척추 기립근 등 |
어깨 근육군 | 삼각근, 승모근 | |
팔 근육군 |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 |
2) 주동근, 보조근, 길항근 (기준: 움직임/운동 시 역할)
- 주동근(agonistic muscle) : 동작/움직임 시 가장 많은 힘을 발휘하는 근육
- 보조근 : 주동근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근육들
- 길항근(antagonist muscle) : 주동근과 반대 방향으로 기능하는 근육
3) 대근육과 소근육 (기준: 근육의 크기)
- 대근육 : 하체, 등, 가슴근육
- 소근육 : 팔, 종아리
근육의 구성
개별근육 > 근섬유 muscle fiber > 근원섬유 > 근원세사 (액틴, 마이오신)
골격근을 이루는 핵심 단위는 근섬유 muscle fiber이다. 근섬유는 자체적으로 수축, 이완, 회복, 에너지 대사를 할 수 있는 독립적인 최소 단위이다. 근섬유막으로 둘러싸여 있는 근섬유는 근육 수축 기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액틴과 마이오신 다발의 근원섬유를 비롯하여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가로세관, 미토콘드리아, 세포핵, 위성세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섬유 (muscle fiber) |
세포핵 | |
근원섬유 | ||
미토콘드리아 | - 에너지 ATP를 공급하는 발전소 - 탄수화물, 지방을 산소와 함께 태워 ATP 생성 - 난자를 통해 모계 유전자로만 전달 |
|
가로세관 | - 전기신호를 근원섬유에 전달 | |
위성세포 | - 근섬유가 손상되었을 때 복구를 도움 |
근섬유는 크게 지근섬유와 속근섬유로 나뉘는데, 관련된 내용은 아래 포스팅에 정리해두었다.
[운동생리학] 근육세포 유형(지근섬유, 속근섬유)
[운동생리학] 근육세포 유형(속근섬유, 지근섬유) 근육세포에는 서로 다른 유형이 있어, 우리가 짧은 시간 폭발적 동작을 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 지구성 운동도 수행할 수 있도록
workout-mirim.tistory.com
근육의 수축 기전 mechanism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 근육은 '당기기(수축)'만 가능하고, '밀기'에는 힘을 사용하지 못한다. 근육은 전기 자극을 받아 당기는 과정에서 힘을 사용한다. 근수축 기전도 이전에 별도 포스팅에 정리해 두었다.
[운동생리학] 근수축 원리와 종류(등척성, 등장성, 등속성)
[운동생리학] 근수축 원리와 종류 (등척성, 등장성, 등속성) 근육은 근육세포들의 결합조직으로 수축 운동을 통해 이동·자세유지·체액 분비 등을 담당하는 신체의 기관이다. 근육은 크게 신체
workout-mirim.tistory.com
간단히 정리하자면, 근섬유 내 근원섬유는 단백질 섬유다발인 마이오신myosin 사이에 액틴이라는 단백질섬유가 촘촘하게 끼어있다. 평상시에는 액틴과 마이오신이 분리되어 있다가 전기 자극을 받게 되면 칼슘이온이 방출하며 액틴과 마이오신이 순간적으로 이어져 수축하게 되는 것이다.
'♡ Study > 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웨이트 운동을 위한 운동기구 종류 및 특징 비교 (0) | 2023.09.04 |
---|---|
[운동생리학] 골격, 신경계와 호르몬, 에너지대사, 심혈관계 (2) | 2023.08.28 |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반복적 비교분석법 (0) | 2023.06.10 |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문화기술지(Ethnography) 방법 (0) | 2023.06.06 |
[운동생리학] 근육과 에너지 (ATP, 에너지시스템) (0) | 2023.05.06 |
댓글